- [강활]강활 효...
- 블로그
- 원본
CCL
저작자 표시 필수
상업적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 강활 ( 강호리...
- 블로그
- 원본
▲ <자료제공=한국야생식물연구회> |
학명 : Ostericum praeteritum KITAGAWA.
과명 : 산형과 (Umbelliferae)
속명 : 당귀속 (Ostericum)
영명 : Korean ostericum
향명 : 강청, 조선강활, 대치산근, 강호리, 독요초(獨搖草)
한국, 중국 북동부 등지에 분포하며 산골짜기 계곡에 서식한다.
높이는 약 2m로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를 가지며 3장의 작은 잎이 2회 깃꼴로 갈라진다. 작은잎은 넓은 타원형 또는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깊게 패인 톱니가 있다.
작은 잎자루는 올라가면서 짧아지고 잎자루 밑부분이 넓어져 잎집이 된다. 8~9월에 흰 꽃이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겹산형 꽃차례로 피는데, 10~30개의 작은 꽃대로 갈라져 많은 꽃이 달린다.
총포는 1~2개로 바소꼴이고 작은 총포는 6개이다. 열매는 분과로 10월에 익으며 타원형이고 날개가 있다.
봄철에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효능 : 해열, 구풍, 진통, 진경, 백절풍, 중풍, 치통 등에 효능, 발한해열, 진통, 항균 작용
<출처 : 생리활성물질 함유 국내 산채류 >
강활[ 羌活 ]
- 유형
동식물
- 성격
식물, 풀
- 학명
Ostericum koreanum (MAX.) KITAGAWA
- 생물학적 분류
미나리아재비과
- 출산/개화시기
8∼9월
정의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2∼3년생 숙근초(宿根草).
내용
강호리라고도 하며 학명은 Ostericum koreanum (MAX.) KITAGAWA이다. 키가 2m쯤 되고, 잎은 어긋나며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고 세번 깃모양으로 갈라지며 작은 잎자루와 톱니가 있다.
8∼9월에 복산형화서(複傘形花序:꽃대 끝에 부채살모양으로 갈라져 피는 꽃차례)가 가지와 원줄기의 끝에 10∼30개의 작은 꽃대로 갈라져서 많은 흰 꽃이 핀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날개가 있다. 꽃이 진 후에 원래의 뿌리는 썩고 옆 순이 새로 생겨 다시 자라는데, 한방에서 이용하는 강활은 이 뿌리를 말린 것이다.
뿌리는 지름이 2∼6㎝인 덩이에서 10∼30㎝ 길이의 많은 곁뿌리들이 있다. 뿌리의 겉은 회갈색이고 주름이 잡혀 있고, 절단된 면은 갈담색이며 거칠고 특이한 향기가 있다.
1500년대까지만 해도 강활과 독활(獨活)이 동일한 식물로 기록되어 있었다. 독활은 강중(羌中)에서 생산되는 것의 품질이 좋기 때문에 독활을 강활이라고 하였다는 이시진(李時珍)의 학설이 있기도 하나, 이 두 식물은 분류학적으로 서로 다른 과(科)에 속해 있다.
성분은 휘발성정유를 포함하며, 동물실험 결과 해열·발한·진통 등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알콜로 추출한 것은 결핵균의 생장을 억제한다.
약성(藥性)은 온화하고 맛은 쓰고 맵다. 감기로 인하여 땀이 안 나고 열이 심하며 머리와 전신의 통증이 있을 때에 사용하면 효과가 있다. 관절과 근육질환에 널리 쓰이고, 특히 찬 기운을 느끼게 되는 상반신의 근육통에 효능이 있다.
안면신경마비에 독활·방풍(防風)을 배합하여 치료하기도 한다. 신경통과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보행장애 등에도 널리 사용한다.
약의 용량을 10g 이상 쓰는 것은 금해야 한다. 한방에서 많이 쓰이는 약제이며, 대표적 처방으로는 감기로 인하여 두통이 심할 때에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이 있고, 중풍에는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이 있다.
강활식물
本草綱目
現代本草學(高文社, 1972)
漢藥監床應用(李尙仁·辛民敎, 成輔社, 1982)
大韓植物圖鑑(李昌福, 鄕文社,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