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六味地黃元(육미지황원)

킴칸 2009. 12. 10. 21:56

 

 

신수부족을 다스린다(治腎水不足). 

오미자 4 량을 가한 것을 [腎氣丸]이라고 한다. 이것이 폐의 원천을 자양하여 신수를 나게 하는 것이다.  육계와 부자를 각 1 량(40그람)씩을 가하면 [八味元]이 되는데 명문양허(命門 陽虛)를 다스린다. 음허부종(陰虛浮腫)에는 우슬과 차전자를 가해 쓰는데 [금궤신기환]이라고 한다.  유뇨무도(遺尿無度)에는 택사를 빼고 익지인을 가한다.  노인(老人) 및 잉부(孕婦)의 전포(轉포 ; 오줌통포)에는 택사를 배로한다.   냉림(冷淋)으로 먼저 추워서 떨고 설(洩)하지 못하는 데는 [八味元]이 좋다.

[육미지황환] 숙지황 8 량(320그람). 산약. 산수유 각 4 량(160그람). 백복령. 목단피. 택사 각 3 량(120그람)을 작말하여 밀환 오자대로 환을 지어 온주나 염탕으로 50~70알씩 복용한다.  [腎氣丸]의 오미자 1 량(40그람)해서 속용하기도 한다.  또한 20첩으로 분작해서 쓰기도 한다.  음허부종(陰虛浮腫)에는 숙지황을 감하고 우슬. 차전자. 계지. 부자를 가한다.   황달(黃疸)이 겸했으면 인진을 가한다.   상한(傷寒)이 과경(過經)하여 허열(虛熱)이 불퇴(不退)하고 입이 조(燥)하고 혀가 마를고 맥이 허한 증세 등에는 인삼을 배로 하고 맥문동. 귤피 등을 가한다.  [加減八味元]을 소갈(消渴)에 구허(久服)하면 영구히 없어진다.  소질(消疾)되었으면 신기(腎氣)가 회복된 것이다.(方合)  혈허(血虛). 음쇠(陰衰)에 숙지황을 군재(君材)로 하고, 정활(精滑)한 데는 산수유를 군재(君材)로 하며, 소변(小便)이 혹다(或多). 혹소(或少). 혹적(或赤). 혹백(或白)한 데는 백복령을 군재(君材)로 하며, 소변(小便)이 임삽(淋澁)한 데는 택사를 군재(君材)로 삼고, 심기(心氣)가 부족(不足)한 데는 목단피로 군재(君材)를 삼으며, 피부(皮膚)가 건삽(乾澁)한 데는 산약으로 군재(君材)를 삼는다.(綱目)

(적응증) 諸腎疾患. 방광질환. 구루병. 바세도우씨병. 백내장. 변비. 사지번열. 폐결핵

[腎이 본래 實이 없으므로 瀉해서는 안된다.   錢氏가 다만 補腎에 地黃丸을 쓰고 瀉腎하는 약은 쓰지 않는다.(綱目)   左腎은 水에 속하므로 水가 부족하면 陰이 허하다.  補腎丸. 六味地黃丸. 滋陰降火湯을 쓰고,  右腎은 火에 속하므로 火가 부족하면 陽이 허하다. 여기에 八味丸. 加減八味丸. 溫腎丸을 쓴다.(東醫)   腎病에는 불을 쬐는 것과 熱食. 溫灸 등을 禁한다.(內經)]

 

* 八味元(팔미원) ; [육미지황환]에 육계. 부자포를 가한 것인데 命門에 火不足을 다스린다.  오미자를 가하면 [腎氣丸]이 된다.(仲景)   년노(年老)에 수화(水火)가 다 갈(竭)하고 腎氣가 허핍(虛乏)하며 하원(下元)하고, 요비(腰痛). 각연(脚軟)하며 밤에 오줌이 잦고 면흑(面黑). 구갈(口渴)하고 귀가 초고(焦枯)하는 등증을 다스리는 양제(良劑)이다.(入門)  

 

* 補腎丸(보신환) ; 腎水不足과 陰虛를 다스린다.

구판酒灸 4 량(160그람). 지모酒浸炒. 황백酒浸炒 각 3 량(120그람). 건강 1 량(40그람)을 작말하여 호환 오자대로 지어 空心 鹽湯에 50~70환씩 먹는다.(東垣)

 

* 滋陰降火湯(자음강화탕) ; 腎水不足. 陰虛. 火動을 다스린다.

백작약 1 전 3 분(5.2그람). 당귀 1 전 2 분(4.8그람). 숙지황. 천문동. 맥문동. 백출 각 1 전(4그람). 생지황 8 분(3.2그람). 진피 7 분(2.8그람). 지모蜜水炒. 황백蜜水炒. 감초灸 각 5 분을 1 첩하여 강 3 편. 대추 2 매를 넣고 水煎服한다.(回春)

 

* 加減八味丸(가감팔미환) ; 腎水를 專補하고 命門의 火를 兼補한다.

숙지황 2 량(80그람). 산약微炒. 산수유 각 1 량(40그람). 택사酒蒸. 목단피. 백복령 각 8 전(32그람). 오미자略炒 1 량반(60그람). 육계 5 전(20그람)을 작말하여 蜜丸 오자대로 지어 이른 새벽 말하지 않을 때에 鹽湯 혹은 溫酒에 50~70환씩 먹고 또 해질 무렵 空服에 再服한다.(得效)  이 재료를 썰어서 煎服하면 加減八味湯이된다.

 

* 溫腎丸(온신환) ; 腎과 命門의 虛寒과 腰脊의 重痛을 다스린다.

숙지황 1 량반(6그람). 우슬. 육종용. 오미자. 파극. 맥문동. 감초灸 각 8 분(3.2그람). 복신. 건강. 두충炒 각 5 분(2그람)을 1 첩하여 수전복하고 혹은 작말하여 2 전(8그람)을 溫酒에 調服하기도 한다.(丹心) 

 

* 增益歸茸丸(증익귀용환) ; 녹용편 참조.

 

* 淸上補下丸(청상보하환) ; 효후와 한을 만나면 해수가 발하고, 담연이 위를 막아 천급해지는 증세가 오래 낫지 않는 것을 다스린다(治哮吼 遇寒卽發咳嗽 痰涎上壅 喘急 久不差).

[六味元] 半劑 加 오미자. 지실. 맥문동. 천문동. 패모. 길경. 황연. 행인. 반하. 과루인. 황금 각 1 량반(60그람). 감초 5 전(20그람) 위의 약미들의 분말을 오자대로 밀환을 지어 70~80알씩 미음으로 복용한다.

탕으로 만들어 복용해도 좋다.(方合)

 

* 腎瀝湯(신력탕) ; 신장풍으로 인한 어음 건흘(말더듬)을 다스린다(治腎臟風 語音蹇吃).

양신 1 구. 생강 2 량(80그람). 자석碎(쇄) 1 량 7 전(68그람). 현삼. 백작약. 백복령 각 1 량 2 전반(50그람). 황기. 천궁. 오미자. 계심. 당귀. 인삼. 방풍. 감초 각 1 량(40그람). 지골피 5 전(20그람) 이상의 약미들을 먼저 양신(羊腎). 생강. 자석 이 세가지를 물 한말에 달이되 물이 반으로 줄거든 현삼이하를 넣고, 물 두되가 되게 재전하여 3회에 분복한다. 혹은 10 첩으로 분작하여 쓴다.  [千金] 제부족(諸不足)을 보(補)하는데는 감초. 오미자. 방풍. 현삼. 지골피. 생강을 빼고, 모려분. 형개. 창포. 상표초. 건지황. 부자. 목단피를 넣는다.  제풍(諸風)을 다스리는 데는 작약. 자석을 빼고, 단삼 5 량(200그람). 독활. 우슬 각 1 량반(60그람). 행인 14 枚. 맥문동 두 량(80그람)을 넣는다.(方合)     ( 적응증) 言語障碍

 

*經驗方 ; 숙지황 2 전(8그람). 산약. 산수유. 목단피. 백복령. 댁사. 당귀. 신리화. 감국. 지실. 사삼. 오미자. 맥문동. 천문동. 패모. 길경. 행인 각 1 전(4그람). 반하. 과루인. 황연. 황금. 감초 각 5 분(약 2그람). 생강 3 편. 대추 2 매를 넣고 달여 1 일 2 ~ 3회 복용한다. 환제로 복용시는 감초. 생강. 대추를 빼고 녹두대로 밀환하여 1 일 3회 식후 30 ~ 35환씩 복용한다.

[적응증] 해수(해소). 천식.

 

 

 

 

 

 

출처 : 生活人의 必要條件
글쓴이 : 必要條件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