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펌)
털진득찰
식물명 털진득찰
학명 Sigesbeckia pubescens Makino
분류군 국화과
일어 メナモミ
영문 Glandularstalk St. Pauls-wort
개화기
8 9
잎
잎은 대생하며 중앙부의 잎은 난형 또는 난상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절저,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7.5-19cm, 나비 6.5-18cm로서 양면, 특히 뒷면 맥 위에 털이 밀생하며 기부에 3개의 큰 맥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6-120cm로서 윗부분이 엽신으로 흘러 날개처럼 된다.
열매
수과는 도란형이고 약간 굽으며 4개의 능각이 있고 길이 2.5-3.5mm로서 털이 없으며 외포편에 싸여 있다.
꽃
꽃은 8-9월에 피며 황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려서 전체가 산방상으로 되며 화경은 길이 15~35mm로서 대가 있는 선모가 밀생한다. 총포편은 5개이고 길이 10-12mm로서 길이가 거의 같으며 선형이고 윗부분 이외에는 선모가 있다. 설상화는 1줄이며 암꽃이고 길이 3.5mm로서 끝이 2-3개로 갈라지며 통상화는 양성으로서 모두 열매를 맺는다.
줄기
높이가 1m에 달하고 원줄기는 곧게서며 털이 많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마주 갈라진다.
원산지
한국
* 효 능
- 성분이 차고 맛이 달며 쓰다.
-풍습을 제하고 활혈하며 지통(止痛)하고 뼈마디가 아프며 무릎에 약한것과 안면 신경마비를
다스리며 귀와 눈을 밝게 한다
# 간과 신장의 풍기. 사지의 마비. 뼈마디가 아프고 허리.무릎이 힘이 없는데 좋으며. 능히 대장의
기를 행하게 한다
# 오래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머리가 검어지며 뼈가 튼튼해 지고 늙어 쇠약한데 풍질이 온것에 좋고 부인이 오래 먹으면 좋다
# 적은 독이 있다
#꿀과 술에 담가 아홉번 찌고 햇볕에 말리면 기를 보하고 풍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