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정(塡精). 보수(補髓). 조진(調眞). 양성반노(養性返老). 환동(還童)하는 고약(膏藥)으로 백손(百損)을 보(補)하고 백병(百病)을 제거하며 만신(萬神)이 모두 족(足)하고 오장(五臟)이 가득 차서 넘치(盈溢)며 백발(白髮)이 검어지고 락치(落齒)가 다시 나며 분마(奔馬) 처럼 달리고 1일에 3회씩 먹으면 종일 토록 배고프지 않으며 이 밖에도 그 공효는 다 말 할수 없다. 일료(一料)의 五分의 一 을 먹으면 중풍(中風)으로 뻣뻣하게 마비된 증상(탄환증)을 고치고 十分의一 을 먹으면 폐병(肺병) 앓는 것이 낫고 27년 동안 먹으면 360세를 살며, 64년 동안 복용하면 500세를 살수 있다.(東醫)
製造法(제조법) ; 생지황(生地黃) 16斤을 절구방아에 찧어서 즙(汁)을 짜고 , 인삼(人蔘)을 세말(細末)하여 24량(兩), 白茯령細末하여 48兩, 백밀정선(白蜜精選) 한것 10근(斤)이상을 같이 조화(調和)하여 자기합(磁器盒)에 넣고 기름 종이(油紙)5겹과 뚜꺼운 베(厚布)1겹으로 합구(盒口)를하고 견봉(堅封)하여 동과(銅鍋)에 넣고 솥 바닥에 깨끗한 나무막대기를 건너질러 놓아서 물이 끓어도 盒口에 넘어 들어가지 않도록 한 후에 뽕나무불로 삼주야(三晝夜)를 끓이는데 줄면 또 뜨거운 물을 다시 첨가(添加)하여 끓이는 기한(期限)이 되거든 약합(藥盒)을 끄지어 내어 다시 밀지(蠟紙)로서 합구(盒口)를 견봉(堅封)한 뒤에 우물속에 달아매어 넣고 일주야(一晝夜)가 지난 뒤에 끄집어 내어 다시 구탕(舊湯)에넣고 전법(前法)과 같이 넣어 일주야(一晝夜)를 끓여 내는 것이다. 제일 먼저 덜어서 천지(天地)의 신(神)에 제(祭)를 지낸 뒤에 一日에 2~3회로 1~2숫가락(匙)씩 온주(溫酒)에 복용(服用)하고 술을 먹지 못하는 이는 온수(溫水)에 조복(調服)한다. 여름더위(炎暑中)에는 음한(陰冷)한 곳이나 혹은 빙중(氷中)이나 지중(地中)에 장치(藏置)하여 보관(保關)한다. 기식(忌食)은 파. 마늘. 무. 초(醋)등이다.(入門)
위생방(衛生方)에는 生地黃 八斤(4800g), 人蔘 32兩(1280g). 백복령 24兩(960g), 白蜜5斤(3000g),으로 되어있다. 中國의 황실(皇室)에서 태의원회의(太醫院會議)를 열고 우처방(右處方)에 천문동(天門冬).맥문동(麥門冬). 지골피(地骨皮).各各 8兩(320g)을 가(加)하여 익수영진고(益壽永眞膏)라 하였다.(湯液)
위의 용량을 균등하게 줄여서 사용도 가능하다.